실전 육효[신역] - 관음사 보화스님 - [신역 연재 – 5일차] 첫걸음. Part 4. 8괘에서 64괘로의 흐름을 이해하자! 안녕하세요~ 지난 주에는 '팔괘'에 대해서 공부했었습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그 모양새를 무조건 철저히 외워야한다고 했었는데... 다들 과연 제대로 외우셨는지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그것을 제대로 외우셨다면 다음의 흐름을 잘 보십시오. 척전을 6번 반복하고, 올라가면서 기록합니다. 읽을 때는 반대로, 내려가면서 읽습니다. 6효부터, 5효, 4효까지, 순서대로 양→음→양이므로 '삼이화'가 됩니다. 3효, 2효, 초효는 음→음→양이므로 '사진뢰'가 됩니다. 이 두 팔괘의 끝글자들만 따서 '화뢰'가 되고, 이 화뢰는 '서합'이라는 조합이름을 갖습니다. 이런 식으로 두 팔괘의 조합은 64가지의 괘를 만들어냅니다. 즉 [외괘 끝글자 + 내괘 끝글자 + 조합이름]으로 구성되는 것입니다. '64괘'가 바로 이런 것들입니다. 이 64괘의 내용은 정말 방대합니다. '주역'에서는 '괘사'라고 하여 64괘 각각에 많은 설명이 따라붙습니다만, '신역'에서는 최대한 간단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그래도 내용이 너무 많아서 이번엔 안올리고, 다음
실전 육효[신역] - 관음사 보화스님 - [신역 연재 – 4일차] 첫걸음. Part 3. 8괘를 외웁시다. 철저히!!! 안녕하세요~ 공부하기 좋은 날입니다. 그러므로, 오늘부터는 조금 어려운 부분을 시작합니다! 지난주에, 문복 적는 요령과 척전에 대해서 공부했었습니다. 오늘은 그 척전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즉 어떻게 8괘로 되는지를 공부하는 순서입니다. 일단 바로 핵심입니다! 척전을 6번 반복하고, 그 순서대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음양을 기록한다고 했던 것을 기억하시나요? 위의 표를 잘 보시면, 척전이 3번씩 뭉쳐서 8가지라는 경우의 수, 다시 말해 '팔괘'를 발생시킵니다. 그러므로 6번의 척전은 총 2개의 팔괘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때 아래쪽의 팔괘를 내측, 위쪽의 팔괘를 외측이라고 합니다.(※'내측', '외측'이라고는 하는데, 해설을 용이하게 하는 구분일 뿐이며, '내측', '외측'이라고 해서 스스로 어떤 의미를 갖는 용어는 아닙니다.) 팔괘가 2번 나오므로 내측에는 이태택, 외측에는 육감수, 또는 내측에도 칠간산, 외측에도 칠간산... ~이런 식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팔괘가 2번 나오므로, 8×8해서 64가짓수의 조합('64괘'라고 합니다. 64
실전 육효[신역] -관음사 보화스님- [신역 연재 – 3일차] 첫걸음. Part 2. 문복 내용 적기 & 척전 문복 내용이라 함은 아래 문복을 예로 들자면, 예제의 오른쪽 아래와 같습니다. 즉 문복자가 물어보고 싶은 것을 적는 것이죠.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건들이 따라붙는 질문은 꼭 세세한 부분까지 설정하여 적을 것. ex) 산 ○○번지, 150평을 평당 80만원에 매매할 수 있을까요? 2. 새해 신수점과 같이 두루뭉술하게 문복하는 경우도 있지만, 가능하면 yes 또는 no로 대답할 수 있도록 질문을 정리하여 적을 것. 3. 하나의 문복에는 꼭 하나의 질문만을 적을 것. 4. 점을 보러 온 사람은 대리인일 수도 있으므로, 잘 확인하여 가능하면 점을 보려하는 실질적인 대상자(문복자)의 입장에서 문복을 적을 것. 이 원칙들은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만, 이런 식으로 분명하게 설정해놓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해설을 할 수 없습니다. 육효는 6개의 효와 나를 포함한 육친의 움직임만으로 세상만사의 질문에 대해서 답을 해주는데, 이때 문복 내용은 해설의 방향을 잡아주는, 즉 망망대해의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문복을 적는 것은 우주만물의 이치에
실전 육효[신역] -관음사 보화스님- [신역 연재 – 2일차] 첫걸음. Part 1. 날짜, 공망 정리. 아래 예제의 오른쪽 위에 보면 양력날짜와 음력날짜가 있습니다. (1)양력날짜는 전자자료로 정리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통상은 기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2)음력날짜는 달력을 보고 옮겨 적으면 됩니다. 단, 달력은 당연히 60갑자가 표기되어 있어야 합니다. (3)음력날짜에서 년은 전자자료로 정리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최소한 월과 일만 적으면 됩니다. 예제에서 날짜의 왼쪽을 보면 공망(空亡)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공망은 오늘부터 시작하여 가장 먼저 돌아오는 천간 갑과 을의 지지입니다. ◾무신일이라고 하면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갑인, 을묘, 즉 인과 묘에 공망으로 표기하는 것 입니다. ◾천간이 갑인 날에 문복하는 경우 갑의 지지는 표시하지 않고 을의 지지만 공망으로 표기합니다. ◾천간이 을인 날에 문복하는 경우는 어제까지의 공망이 아니라 새로 돌아오는 갑과 을의 지지로 공 망을 표기합니다. 우리나라에는 8맥 45종의 육효가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는 공망의 규칙이 다른 육효도 소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실전 육효[신역] -관음사 보화스님- '실전 육효[신역]' 연재를 시작합니다. 인사·서론 생략하고~ 본론으로, 육효의 개요부터! 바로, 필요한 설명부터 들어갑니다. 육효란 무엇인가? 육효란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점'입니다. 그리고 생활철학입니다. 무엇이든 궁금한 것을, 모두 해부해볼 수 있습니다. 혹자는 주역과 신역의 관계를 물어볼 수 있습니다. 주역은 육효의 해설스타일 중의 하나일 뿐입니다. 소강절역, 한역, 정역, 토역, 경방역 등, 그리고 여기서 연재를 시작한 '신역'도 그 해설스타일 중의 하나인 것입니다. 주역은 공자, 조조 등 수많은 후대 유명한 학자들의 손을 거치고, '역경'이라 불리며, 결국 유학의 필수 교서인 '사서삼경'에서도 최고의 위치에 오르게 됩니다. 이렇듯 지대한 영향력을 갖추자 '주역=육효'라고 인식된 것입니다. 그럼, '실전 육효[신역]'이란 무엇인가. 필자의 부친(정재 정명돈)이 충남 개심사에 동진출가하여 그곳의 한 스님으로부터 주역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다시 필자가 이어받아 발전시키고 '신역'이라 이름붙인 것입니다. (참고로 소승은 물려받은 당판 육효 총론 6권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방문하신다면 견문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