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통신) 부산광역시는 올해 부산중소기업인 대상 수상자로 ㈜디프로매트 장만영 대표이사, 금성볼트공업㈜ 김선오 대표이사, 해성공업 김재성 대표, 남양모방㈜ 이용문 대표이사, ㈜우영제화 윤용도 대표이사 등 5개 기업대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부산중소기업인 대상’은 부산시가 지역중소기업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1999년부터 2016년까지 112명의 우수 중소기업인에게 수상해 오고 있다. 올해 수상자 선정을 위해 지난 4월 12일부터 4월 28일까지 부산시·구(군) 홈페이지, 유관기관 등 홍보를 통해 9개 기업을 접수받았으며,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시·중소기업 유관기관 관계자로 구성된 실사반(8명)이 일자리창출, 경제기여도, 기술현황, 기업건실도, 사업성과의 5개 항목 21개 세부항목에 대하여 기업현장 방문 및 서류심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수상자에게는 트로피와 우수기업인 인증서를 수여하고 향후 3년 동안 중소기업 운전·육성자금 및 신용보증 특례 지원과 해외시장개척단 파견 및 전시회 참가 우선 지원, 광안대교 통행료 면제 및 시·구(군), 벡스코 등 공영주차장 무료이용, 지방세기본법 제136조에 의한 세무조사 유예 등의 혜택을 제공
(경기뉴스통신) 현대엘리베이터가 나이스신용평가 본평가에서 기업신용등급이 기존 BBB 0에서 A -로 두 단계 상향되었다고 19일 밝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2010년 이후 41~45% 수준의 시장점유율 유지 및 해외진출을 통한 사업기반 확대 △채산성이 높은 유지보수 부분의 실적 비중 증가로 우수한 수준의 영업수익성 유지 △안정적인 현금 창출력에 기반한 재무 안정성 유지를 등급 상향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세부적으로는 지난 5년(2011~2016)간 서비스부문 19.5%, 제조부문 11.7% 의 높은 연평균 매출성장률에 힘입어 매출 규모가 8,792억원에서 1조7,588억원으로 2배가량 성장했다면서 특히 경기변동에 영향이 없고 수익성이 매우 높은 서비스부문 점유율 확대로 우수한 영업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엘리베이터는 등급 전망에서는 국내 과점적 시장구조와 수위의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우수한 영업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경기뉴스통신) 최태원 회장과 SK CEO들이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을 가속화하는 것 외에도 사회와 함께하고 사회를 위해 성장하는 Deep Change를 함께 추구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SK그룹은 19일 경기도 이천 SKMS연구소에서 최태원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수석부회장, 조대식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및 7개 위원회 위원장, 주요 관계사 CEO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 확대경영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SK CEO들은 지난해 6월 확대경영회의 이후 적극적으로 변화·혁신을 추구해 관계사별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으나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들과의 격차는 여전하다는 위기 의식을 공유하고 각 관계사별 Deep Change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SK CEO들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개방형·공유형 경제 체제에서는 SK 자체적인 성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사회와 함께하고, 사회를 위해 성장하는 New SK로의 새로운 성장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현재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Deep Change 지속 실천키로 SK그룹 16개 주요 관계사 CEO들은 이날 지난해 6월 확대경영회의 직후
(경기뉴스통신) 해양수산부는 6월 19일(월)부터 20일(화)까지 제주 롯데호텔에서 ‘제1차 아시아·태평양 지역 이내비게이션 국제 콘퍼런스’(이하, 아·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해양수산부, 국제항로표지협회(IALA)*와 덴마크 해사청이 공동 개최한다. * IALA(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 : 등대, 등부표 등 항로표지에 대한 기술개발 및 기술 표준화를 위해 83개 항로표지 당국으로 구성된 국제기구 이내비게이션은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상안전과 해운효율 증진을 위해 2020년부터 도입하는 차세대 해상교통안전종합관리체계로, 선박운항기술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장비를 통합·표준화하는 시스템이다. *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국제 해상 안전 및 효율, 해양환경 보호 등을 관장하는 UN 산하 전문기구로 1959년에 설립되어 현재 172개국이 가입 과거에는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이내비게이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올해 처음으로 우
(경기뉴스통신) 울산광역시는 지난 2016년 풀뿌리기업육성사업에 ‘발포물성 예측기술을 활용한 발포 소재·제품 개발 지원사업’이 선정되어 올해 2차년도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풀뿌리기업육성사업’은 시·구·군 지역 내 특화자원을 활용한 제품개발과 개발제품의 사업화지원으로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지역기업의 매출신장과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울산은 지역주력산업과의 연계효과가 높고, 최종 제품의 성능, 가격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발포소재산업(폴리우레탄, 원료인 폴리올 전국의 90% 생산)의 고도화를 위해 ‘발포물성 예측기술을 활용한 발포소재·제품 개발 지원사업’이 선정, 추진되고 있다. 사업비는 총 22억 8200만 원이 투입되며 (재)울산테크노파크가 주관기관으로 ▲기업지원(비R&D) ▲기술개발(R&D) 등 2개 분야로 구분하여 지난 2016년 4월 착수, 오는 2019년 1월 사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1차년도 사업 추진 결과, 기술지원(88건, 예측 기술지도/분석지원 등) 및 사업화지원(18건, FTA 컨설팅/마케팅 지원 등)등의 기업지원으로 고용창출 16명, 매출증대 21억 원을 거뒀다. 또한 ‘저장안정성 및 점도가
(경기뉴스통신) 울산광역시와 UNIST는 6월 19일 오전 10시 50분 UNIST 제4공학관(110동)에서 연구중심의 기존 ‘UNIST 게놈연구소’를 ‘게놈산업기술센터’로 기능을 확대하여 개소하고, ‘게놈 코리아 울산사업’의 성공적 추진과 실증화를 위한 ‘관련 게놈 기업체들과 협약’을 체결한다. ‘게놈산업기술센터’는 궁극적으로 게놈기반 원천기술의 상용화·산업화에 집중하고, 기업·센터·지역이 연합하여 수익성 창출과 글로벌 시장 개척에 초점을 맞춘 코어 인프라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대한민국 게놈산업의 인프라를 한 차원 높이는 비전을 염두에 두고 개소된다. ‘게놈산업기술센터’는 미국 MIT(메사추세스공과대학교) 등 세계 유수 대학의 융·복합 연구시설을 벤치마킹해 지난해 10월 준공한 2단계 BTL(연구공간 확충 임대형 민자사업) 연구동 중 하나인 UNIST 제4공학관(110동) 3층에 위치하며 면적 820㎡(248평) 규모에 게놈분석실, 습식실험실, 샘플저장실, 세포 배양실 등을 갖추고 있다. 이 센터의 역량을 보면, 최근 한국인 41명의 게놈서열을 통합하여 한국 공통 게놈 서열을 포함한 ‘한국인 참조표준 게놈지도(KOREF)를 공개’(Nature C
(경기뉴스통신) 주소록 검색창에 상호명을 입력하면 전화번호와 주소, 영업시간 등 상세정보를 바로 안내해주는 서비스가 선보인다. KT는 LG유플러스와 함께 주소록 검색창을 통해 410만개 이상의 상호 검색은 물론, 자주 전화하는 상호를 업종별로 분류해 전화번호를 안내해 주는 ‘번호안내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기본 탑재된 주소록의 검색창을 통해 찾고 싶은 상호 또는 업종을 입력하면 거리 또는 방문순으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거리순은 현재 위치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순으로 방문순은 주변 3km 이내에 있는 상호 중 카드 결제 내역이 가장 많은 순으로 정렬된다. 방문순은 기존 검색서비스들과 달리 BC카드 가맹점의 결제정보를 활용, 결제건수가 많은 상호를 알려주어 실제 고객들이 자주 이용하는 인기 가게를 알 수 있는 차별화된 기능이다. 특히 상호의 상세 화면에서는 전화번호, 주소 및 위치 등 상세 정보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고 내비 길안내와 지도앱을 통한 대중 교통 및 도보안내를 제공, 고객은 스마트폰의 주소록만으로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소록 내 별도의 ‘홈페이지’ 아이콘을 통해 병원, 약국,
(경기뉴스통신) 삼성SDS가 인도네시아 코린도(Korindo)그룹과 글로벌 통합물류 운영에서 전략적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린도 그룹은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대표적인 한국인 투자기업으로 자원 및 제지사업을 비롯 중공업, 물류, 화학 등 30여개 계열사를 보유한 종합 개발회사다. 삼성SDS는 이번 전략적 협약을 통해 해외 현지 물류실행력을 보완하고 대외 매출을 확대할 계획이며 코린도 그룹은 삼성SDS의 물류플랫폼인 첼로(Cello) 기반의 물류 고도화를 추진하여 국제운송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양사는 물류부문에서 사업 협력모델을 만들고 향후 합작회사(Joint Venture)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코린도 그룹 박인철 부회장은 “이번 전략적 협업을 통해 양사가 갖고 있는 장점을 결합하면 시너지가 많을 것이다”며 “사업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삼성SDS 김형태 SL사업부장(부사장)도 “해외 현지 물류실행력을 더욱 강화하고 대외고객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지속성장을 위해 대외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삼성SDS는 이에 앞서 인도네시아 니켈 체굴 권을 가진 아딧야(Aditya)社와 5년간
(경기뉴스통신) 농촌진흥청은 국내 애완곤충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4일 경기도농업기술원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강당에서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애완·학습곤충산업 활성화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간담회에서는 현재 애완·학습곤충 생산농가 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 담당공무원 및 연구원 등 100여명이 참석해 국내 애완·학습곤충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새로운 애완·학습곤충의 탐색과 발굴, 고부가 용도개발을 위한 향후 연구방향, 해외 애완·학습 곤충의 국내 이용 촉진방안 등 국민들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주제발표를 통해 애완·학습 곤충산업이 재도약하는 계기로 삼는 자리였다. 사례발표를 통해 현재 애완·학습곤충 생산농가의 현장애로 사항을 수렴해 지속적인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곤충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했다. 또한, 이날 현장간담회에서는 애완·학습곤충의 다양성 확보로 국내·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애완곤충의 문화와 놀이법 시연 등을 소개했다. 농촌진흥청 이희삼 곤충산업과장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애완·학습곤충이 새로운 소득화 곤충산업분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말했다
(경기뉴스통신)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4일(수) 산림과학관 국제회의실에서 국내 목재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목재산업 연구포럼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목재산업 연구포럼은 목재의 이용 촉진을 통해 신기후체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주제 도출, 정책제안을 목적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운영되고 있다. 세미나에서는 ▲‘국산재 이용의 활성화 방안’(산림조합중앙회 중부목재유통센터 김종태 센터장) ▲‘산림탄소경영과 목재산업의 기회’(강원대학교 김외정 연구교수)에 대한 주제발표와 논의가 이어졌다. 아울러, 목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재제품 생산공정의 자동화를 포함한 부재 통합 생산관리시스템의 도입이나 제재, 건조, 집성, 방부, 프리컷(precut) 가공의 수직계열화 클러스터 운영방안이 제안되었다. 한편, 국산재의 이용 확대를 위해 수입재보다 우수한 국산재의 장점 연구와 결과 보급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현재, 국산재의 자급률은 2016년까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펄프용과 보드용 등 저부가가치재의 이용이 많아 고부가가치 용도로 이용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산목재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의 국산재 우선 구매 제도의 확대 시행, 공공
(경기뉴스통신)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구현한 ‘4세대(64단) 256기가비트(Gb)3bit V낸드플래시’를 본격 양산하며 서버, PC, 모바일용 등 낸드 제품 전체로 4세대 V낸드 라인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글로벌 B2B 고객들에게 공급을 시작한 4세대 256Gb V낸드 기반SSD에 이어 모바일용 eUFS, 소비자용 SSD, 메모리카드 등에 4세대 V낸드를 확대하고 올해안에 월간 생산 비중을 50% 이상으로 늘려 글로벌 고객의 수요 증가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4세대(64단) V낸드에는 ‘초고집적 셀 구조·공정’, ‘초고속 동작 회로 설계’와 ‘초고신뢰성 CTF 박막 형성’ 등 3가지 혁신 기술이 적용되어 3세대(48단) 제품 대비 속도와 생산성, 전력 효율 모두 30% 이상 향상됐다. V낸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을 만들 때 수십 개의 단을 쌓아 올려 위에서부터 하단까지 수십억 개의 미세한 홀(Hole, 구멍)을 균일하게 뚫어 수직으로 셀을 적층하는 ‘3차원(원통형) CTF 셀 구조’로 되어 있다. ※ 셀(Cell) : 반도체(집적회로)에서 0 또는 1로 표시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그러나 단
(경기뉴스통신) 대한전선이 싱가포르에서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하며 싱가포르 내에서의 막강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에 900억 원대의 수주에 성공한 후 또 한 번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이다. 대한전선은 15일 싱가포르 전력회사인 SP그룹(SP Group)으로부터 230kV 초고압케이블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수주금액이 한화로 824억원(SGD 100,738,333.47)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싱가포르 중부의 앙모키오(Ang Mo Kio)에서 창이 국제공항 인근의 템피니스(Tampines)까지 연결하는 지중(地中) 전력망을 구축하는 것으로, 대한전선은 230kV 초고압케이블 및 접속재 공급뿐 아니라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책임지는 풀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시공에 대한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산업 지역인 템피니스 인근에 지중 전력망과 구조물이 많이 매설되어 있어,시공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이다. 대한전선은 지난 20여 년간 싱가포르에서 많은 턴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제품 뿐만 아니라 시공에 대해서도
(경기뉴스통신) 광주광역시는 교류(AC)전원을 직류(DC)로 전환해 각종 전기전자 제품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 개소식을 14일 북구 첨단소재 전자부품연구원 광주본부 주관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지역 전자·가전 기업인들과 센터 유치·개소를 지원한 지역 국회의원, 산학연협의회, 연구 및 유관기관, 기업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는 ‘차세대DC전기전자 산업육성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사업’의 하나로 추진됐다. 지난 2014년 7월부터 국비 100억원·시비 18억원·민자 17억원 등 총사업비 135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1530.84㎡,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됐다.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는 DC 전기전자 관련 실증과 제품화를 위해 호남권 최초로 전자기신뢰성시험 시험 장비 등을 구축해 기존 전자부품연구원 광주본부이 이미 갖추고 있는 연구개발 인프라와 연계, 지역 기업의 전자기기 시험·측정·분석을 원스톱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 전자부품연구원은 전자·가전·자동차 등 전자제어기를 필요로 하는 모든 기기의 회로설계와 최적화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기업을 통한 제품화와
(경기뉴스통신) 성남시는 오는 6월 19일 오후 2시~4시 시청 1층 로비에서 희망취업박람회를 연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을 ‘시민 일자리 잡는 날’로 운영해 40개사에 117명 취업을 지원한다. 구인 업체로 참여하는 기업은 ㈜엘엔씨바이오, 라치오날코리아㈜, ㈜시스텍, ㈜지오네트 등이며, 업종은 제조업, 무역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다양하다. 현장에서 면접을 진행해 직원을 채용한다. 취업 희망자는 행사 날 신분증, 사진을 붙인 이력서, 자기소개서를 준비해 오면 원하는 기업과 면접을 볼 수 있다. 성남시는 이력서 사진 무료 촬영, 사진 촬영용 정장 상의 무료 대여, 각종 일자리 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편다. 구직자의 편의를 위해 구인 업체 정보는 시 홈페이지와 성남일자리센터 블로그에 6월 13일 미리 올려놨다. 워크넷에 접속해 구인 업체에 이메일로 미리 입사 지원서를 내면 성남일자리센터가 사전 면접자로 등록해 놔 행사 날 편하게 면접을 볼 수 있다. 성남시는 청년층의 취업 지원을 위해 ▲취업 지원 프로그램 ‘청년뉴딜’ 연 4차례 운영 ▲카카오톡 취업상담 채팅 앱 ‘일자리 쌤’ 운영 ▲지역 내 카페에서 구직자와 대면 상담하는 ‘청년 잡 토크’ 등 다양한 시책을
(경기뉴스통신) 한국전력공사는 6월 15일 오후 3시(현지시간)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치토세시(千歲市)에서 28MW급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가압 및 시운전에 착수하였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한전이 최초로 해외에 건설한 ESS 융복합형 태양광 발전소로서, 28MW의 태양광 발전과 13.7MWh의 ESS 설비가 결합된 사업이다. 사업부지는 홋카이도 신치토세 국제공항 인근으로 약 33만평 부지에 123,480장의 태양광모듈 및 13.7MWh의 ESS 설비를 설치 완료하였으며, 2017년 6월 15일 일본 홋카이도 전력의 히노데변전소에 계통연계 후 발전소 초기가압 및 시운전에 착수, 20일간의 시험운전을 거쳐 2017년 7월 5일에 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한전 조환익 사장은 6.14일 발전소를 방문하여 발전소 시운전을 위한 최종 준비상황을 현장 점검하였고 “치토세 사업은 한전 최초의 해외 태양광 발전사업으로 일본 등 선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인하는 시금석이 될 프로젝트다”며 “한전은 본 사업에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국내 기업들과 함께 해외 신에너지 시장 개척에 앞장서 나가는 등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