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통신) 정부가 24일(목)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제2차 민관합동 수출투자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소비재 수출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고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밝혔다.
이번 대책은 한류 확산, 신흥국의 내수시장 성장, 올림픽 등 다양한 기회요인을 활용하여, 소비재 산업을 우리의 새로운 수출 효자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함이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 마련을 위해 약 20여차례 소비재 기업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 애로사항들을 파악했다.
산업부는 이날 행사에서 ▲수출마케팅 지원을 위해 해외전시회 참가, 현지 지사화사업 지원 예산을 당초 계획대비 2배 이상 확대(전시회: 208→411억 원, 지사화: 15→60억 원)하고, ▲한류 공연과 K-뷰티, K-패션, K-푸드 등을 연계한 대규모 한류 박람회를 선양·시안·충칭(중국, 5월), 리우(브라질, 8월) 등에서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인증, 규제, 통관 등 비관세장벽에 대한 기업 부담 완화 및 위조상품에 대한 우리기업 대응 역량 강화 ▲소비재 고급화를 위한 융합형 R&D 등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개발 상품의 시장진출을 지원하는 투자세액 공제(바이오의약품 임상1·2상, 20%) 추진 ▲유망소비재 산업에 대한 무역보험, 특별 대출 프로그램을 가동(무보 한도 1.5배·보험료 25%할인, 수은 2018년까지 대출규모 총 3조 원, 중소중견 금리 0.4%p 우대, 중진공 융자 한도 20→40억 원, 상환기간 연장 180→360일) ▲소비재 산업 융합 얼라이언스(협의체)를 출범시켜 소비재와 IT, 디자인, 유통·물류, 문화콘텐츠 등을 결합한 융합 프로젝트를 발굴을 약속했다.
이날 모두 발언을 통해 주형환 장관은 “가발, 신발, 봉제 등의 소비재 수출을 통해 1960년대 무역입국의 기초를 다졌듯이 제2의 무역입국 시대를 맞아 소비재 수출 붐을 다시 일으켜야 한다”고 언급했다.
주 장관은 "앞으로 신흥국 중심의 중산층 인구급증, 도시화 진전, 고령화 심화 등의 영향으로 세계 소비재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우리 소비재 산업의 브랜드와 기술력 제고를 뒷받침하고, 신흥국 중심의 시장확대를 국내 소비재 산업이 규모의 경제를 통한 성장의 기회로 삼기위해, 이번 대책의 방향을 소비재 기업들이 당면한 애로의 조기해소와 소비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급한 R&D,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앞으로 소비재 수출확대 및 소비재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과제를 발굴하여 추가 지원대책을 차기무역투자진흥회의에 상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