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5.5℃
  • 흐림강릉 7.6℃
  • 서울 7.8℃
  • 흐림대전 7.5℃
  • 맑음대구 12.4℃
  • 맑음울산 11.0℃
  • 맑음광주 7.8℃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5.4℃
  • 맑음제주 11.3℃
  • 흐림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7.4℃
  • 맑음금산 7.6℃
  • 맑음강진군 8.9℃
  • 맑음경주시 9.6℃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취업

국내 최대 '서울창업허브'… 유니콘기업 탄생 이끈다

서울시, 「스타트업 허브도시 2단계 발전전략」 성장단계별 지원 3대 추진전략


(경기뉴스통신) 서울특별시가 인프라 확충과 저변 확대에 방점을 뒀던 창업 1라운드 정책을 '예비~초기~창업 후' 성장단계별로 스타트업을 전(全) 주기 지원하는 2라운드로 업그레이드 전환한다고 밝혔다.

핵심 거점으로 오는 5월 단일 창업보육기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서울창업허브'를 개관한다. 서울 곳곳의 24개 창업보육센터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정책과 정보를 종합화하고 기존 각 센터에서 제공하던 공통·중복된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24개 각 센터는 외국인 창업, IT, 문화콘텐츠 등 기관별로 특성화 기능을 강화하고 서울창업허브와 시너지를 낸다는 계획이다.

이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는 올해 총 1천 개 스타트업(예비기업 545개, 초기기업 395개, 성장창업기업 60개 등)을 선정, 인큐베이팅한다. 유망 창업기업에는 기업당 연간 1천만 원~최대 1억 원까지 집중 투자한다. 또, 예비창업인 1만 명에게는 체계적인 창업 교육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내용으로 「스타트업 허브도시 2단계 발전전략」을 발표, '유니콘기업(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의 탄생을 이끌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시는 '95년 전국 최초 '신기술창업센터'를 개관하고 '09년 창업지원정책을 본격화한 이래, '10년 13개(연면적 13.5만㎡)였던 창업지원 인프라를 '17년 35개(연면적 18만㎡)로 확대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밖에도 창업기업의 애로사항을 파악, 세부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100인의 서울창업포럼”을 통해 정책의 현실성을 높이고, 지자체 최초로 ‘서울유통센터’를 설치해 창업기업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등 창업기업의 현실적 걸림돌 제거에도 노력해 왔다.

창업지원시설의 지원을 받은 창업기업이 총 6천개, 이들 기업이 올린 총매출액은 1천5백억 원, 고용창출 효과는 1만 명이었다. 특히, 서울형 신성장동력사업인 IT·지식서비스 분야를 중점 지원한 결과, 작년 한 해 서울산업진흥원(SBA)을 통해 기업들이 거둔 순수 투자유치 금액은 총 180억 원이었다.

이런 1라운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본격 시작하는 2라운드 창업정책은 3대 추진전략, 13개 세부과제로 추진된다.

3대 추진전략은 ①창업 생태계 연계·활성화 ②기업 성장단계별 전주기적 지원시스템 구축·운영 ③특화 창업보육체계 마련이다.

▶첫째, 창업 생태계의 핵심이 될 '서울창업허브'는 오는 5월 개관한다. 마포구 공덕동 산업인력공단 건물 2개 동을 리모델링해 사용하며, 단일 창업보육기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23,659㎡)다.

그동안 중앙정부, 민간, 시 산하 창업기관 등 주관부처나 사업목적에 따라 흩어져 있는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관련 정보를 하나로 연계·종합한다. 시는 중앙정부(중소기업청)와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기 위한 뜻을 모으고 있으며,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마련 중에 있다.

창업을 희망하는 누구나 아이디어만 가지고도 '서울창업허브'를 방문하면 통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도 ▷오픈공간(1~3층) ▷창업지원공간(4~8층) ▷투자·판로·성과확산 공간(9~10층)으로 구성한다. 창업 정보플랫폼인 '창업종합정보포털'(홈페이지, 앱)도 새롭게 구축한다.

▶둘째, 창업 교육과 공간 제공에 중점을 둔 기존 지원 전략에서 탈피, '예비창업기업~초기창업기업~창업 후 성장기업'에 이르는 성장단계별로 수요와 정책지원을 체계적으로 매칭한다. 올해 총 1천 개 기업을 육성한다는 목표다.

유망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3개월~최장 3년의 입주기간 동안 전방위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울창업허브 Bi 기업당 1천만원(1년), Post-Bi 기업당 2천~최대 5천만원(최장 2년), 글로벌성장창업기업 최대 1억원(1년)을 지원한다.

미국, 유럽 등 해외 현지보육도 추진한다. 국내시장 뿐만이 아니라 해외시장을 타깃으로 해외 현지 데모데이에 우수 기업을 참가 하게 하고 LA, 뉴욕의 현지 액셀러레이터와 협업으로 현지에서 직접 기업 보육·IR 자료작성 및 피칭 훈련을 현지 액셀러레이터와 진행하고 현지 시장 마케팅 기법을 제공한다

▶셋째, 기존 24개 창업지원센터는 업종별, 기능별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명확히 특성화한다. 예컨대,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내 창업센터는 민간연계 ICT 창업을, 서울먹거리창업센터는 농업과 기술융합을 집중 지원한다.

서동록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하나의 유니콘기업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유수의 대학, 기술연구소와 R&D단지, 산업 클러스터, 민간 자본 지원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생태계를 가져야 한다”며 “서울창업허브와 서울 전역의 24개 센터를 통해 창업을 희망하는 누구나 아이디어만 가지고도 비즈니스모델 설계부터 기술개발, 시제품·완제품 생산,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에 이르기까지 창업과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