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차의 아버지’ 한재 이목 선생 제례 봉행

 

(경기뉴스통신) 한재 이목 선생의 기일인 음력 칠월 스물 엿새 날인 지난 26일 정간공 한재 이목 선생의 제례가 하성면 가금리 소재 한재당에서 거행됐다.

이날 제례는 첫 잔을 올리는 제관인 초헌관을 맡은 한재종중회의 이지영 회장, 아헌관을 맡은 이하준 김포문화원장을 비롯해 내·외빈 100여 명이 참석해 한재 이목 선생의 업적을 추모했다.

‘차의 아버지’ 한재 이목 선생은 통진부 동상포면 가좌동 지금의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에서 참의공 이윤생의 차남으로 출생해 점필재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업을 받고 19세의 나이에 진사시에 합격했다. 24세 때에는 연경에 유학했으며 25세 되던 연산군 원년에 대과에 장원급제 했다.

한재 이목 선생은 바른 말을 잘해 당대에도 명성이 높았으며, 그의 선비사상과 도학정신 그리고 차에 대한 안목의 깊이를 헤아려보기에 부족함이 없는 다부를 남겨 다부, 다선이라 추앙받고 있다.

다부는 수십 가지에 이르는 차의 명칭, 생산지, 품질 등을 자세히 기술하고 차의 미묘한 미각이 주는 5공 6덕 7효능까지 설파한 1332자 장문의 시로서, 한국의 다성으로 불리는 초의선사의 동다송보다 무려 300여 년 앞선 한국 최초의 다서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재국 경제국장은 “우리지역의 훌륭한 인물이신 한재 이목 선생의 정신을 이어받고,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그 뜻을 높이 선양해 우리의 얼이 잘 계승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