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통신)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연간 22만1천여 명의 신규 암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경제 비용 또한 막대하다.
이에 국가에서는 암의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를 유도해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고자 지난 1999년부터 의료급여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시작한 국가 암검진 사업을 현재 건강보험료 기준 하위 50%까지 대상을 확대해 시행하고 있다.
그 결과 국가 암검진 사업 대상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경우 5년 상대 생존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미국에 비해 10% 이상 높은 상황이다.
올해 암검진 대상자는 홀수년도 출생자로 암 종별 검진기준은 위암과 유방암은 만 40세 이상, 자궁경부암은 만 20세 이상 여성, 간암은 만 40세 이상 간암발생고위험군 대상으로 연 2회 단위로 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대장암은 짝수년도 출생자를 포함해 만50세 이상 분변잠혈검사를 실시한다.
특히 국가 암검진 사업 대상자의 경우 검진주기에 따른 암검진 항목에 대한 10% 본인부담금을 지원해줄 뿐만 아니라, 국가 암검진을 통해 암을 진단받을 경우 연간 200~220만 원의 의료비가 최대 3년간 지원된다.
일산동구보건소 관계자는 “9월 이후에는 검진이 집중돼 예약이 어려울 수 있으니 상대적으로 한가한 여름휴가 기간을 이용해 국가 암검진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